안드로이드 자동 매크로
장점
한번만 구성해 놓으면 이후 어떤 프로그램(게임)이라도 장면과 이벤트만 정의하면 손쉽게 구성가능하다.
단점
‘실제’로 가능한 일만 가능하다..
매크로에 필요한것
- 화면정보
-
이벤트발생
-
장면판독
-
하드웨어
-
프로그램
안드로이드 매크로는 크게 세가지 환경으로 이루어질 수 있겠다.
- 지니모션 : 가상안드로이드 에물레이터, 윈도우에서 실행가능. sdk 에물레이터보다는 월등히 빠르지만 어쨋든 에물레이터 속도.. 3d게임은 개느림.
-
실제기기 : 실제 안드로이드 기기를 adb(usb 디버깅)로 연결, 윈도우(맥,리눅스)에서 실행가능.
-
모비즌 : 실제 안드로이드 기기를 연결하여 윈도우에서 미러링.
환경별 프로그램 구현방법
- 지니모션 / 모비즌
1.1. 화면정보 : 윈도우프로그래밍으로 가능, 지니모션은 tool내의 adb로도 가능
1.2. 이벤트발생 : 윈도우프로그래밍으로 마우스이벤트 발생가능, 지니모션은 tool내의 adb로도 가능
1.4. 하드웨어 : 윈도우가 설치가능한 PC
1.5. 프로그램 : PC 한정이니 멀로해도 상관없을듯
-
실제기기
2.1. 화면정보 : adb로 가능 http://note.heyo.me/?p=684
2.2. 이벤트발생 : adb로 가능 http://note.heyo.me/?p=684
2.4. 하드웨어 : adb가 설치될수 있는 환경. arm계열도 상관없음 (라즈베리, 큐비보드, 바나나파이..)
2.5. 프로그램 : 하드웨어에따라 잘..
구현순서
-
adb를 이용한 단순매크로
-
윈도우프로그래밍을 이용한 단순매크로
-
화면판독
-
라즈베리파이 + 실제기기를 이용한 저전력 최종구성
언어는
-
대부분 스크립트 언어는 node.js를 이용할듯
-
그외에 윈도우는 c++/window api나 c# winform